1. 창업코칭을 10년 넘게 하다 보니 이제 창업 단계를 넘어 경영 단계에 진입한 고객들이 점점 많아 집니다.
창업 단계에서는 창업 패러다임을 익히게 하기 위해 여러 가지 얘기를 합니다.
주로 하는 얘기는 실행을 강조하는 것이고, 방향을 찾고, 판을 만드는 데 관련된 내용입니다.
창업 단계는 말 그대로 창조하는 단계이므로 판을 만드는 데 집중하게 됩니다.
2. 그런데 어느 정도 판이 만들어지고, 가야 할 방향이 정해지면, 다시 말해 시운전이 끝나고 수익 모델이 확실해지면,
창업 단계에서 경영 단계로 모드가 전환됩니다.
이제는 만들어진 시스템을 돌려야 하는 시기입니다. 돌려서 결과를 만들어내야 합니다.
3. 그런데 3년, 5년 창업 단계를 거쳐 오다보면
만들고 바꾸고 하는 습관이 배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새로운 기능을 발견하거나 새로운 걸 발견하면, 그걸로 다시 방향을 바꿔야 하나? 시운전을 다시 해야 하나?
이런 생각을 하고 설계 → 시운전 → 완성 프로세스를 다시 돌리려 합니다.
4. 경영 단계에는 판을 바꾸는 데 신중해야 합니다.
시운전도 매번 할 필요가 없습니다. 돌리고 운영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새로운 일을 만나면 그걸로 판을 다시 생각하는 게 아니라,
그 일이나 기능이 현재 사업의 설계도에서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 확인부터 해야 합니다.
그걸로 판을 처음부터 다시 짜는 게 아니라, 지금 설계도에 적용만 하면 됩니다.
5. 예를 들어, B2B 고객을 위해 DM을 보내자는 아이디어가 나왔다면,
그 DM이 지금 설계도의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먼저 찾습니다.
공지와 랜딩페이지에 해당한다면,
기존에 사용하면서 지표가 확인된 공지와 랜딩페이지 내용을 거의 그대로 DM 문구에 활용하면 됩니다.
그렇게 발송한 후 결과를 확인해 보고, 조정해 나가면 됩니다.
그 DM을 위해서 새롭게 컨셉찾고 방법을 처음부터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매번 설계를 다시 할 필요가 없다는 말입니다.
6. 경영 단계에 발생하는 일의 대부분은 설계도에 있는 부품을 업그레이드하거나 교체 또는 추가하는 일입니다.
경영 단계에서 할 일은 방향을 바꾸는 게 아니라 요청 사항에 대응하는 겁니다.
판을 바꾸는 게 아니라 지금 판을 변형하면서 답을 찾아 나가는 것입니다.
7. 사실 창업의 목적은 경영입니다.
새로운 걸 계속 만들기 위해 창업한 게 아니라,
만든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서 창업한 것입니다.
만들기 놀이인 레고처럼 만들었다 부수고 다시 만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운송수단인 자동차처럼 타고 다니기 위해서 만든 겁니다.
8. 전체 비즈니스의 과정을 보면, 창업 단계는 초기의 아주 짧은 과정이고,
대부분의 과정은 경영 단계입니다.
다행히도 창업 단계를 지나왔다면, 그다음이 경영 단계임을 확실하게 자각하고
운영에 집중해야 합니다. 창업과 경영은 완전히 다르니까요. |